티스토리 뷰
직장인들은 월급 받을 때 국민연금을 먼저 차감한 후에 받기 때문에 한 달에 내가 내는 국민연금이 얼마인지 신경 쓰지 않으면 알기 힘듭니다. 직장생활을 오래 하신 분은 그동안 내가 낸 국민연금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. 이런 분들을 위해서 본인이 납입한 국민연금이 총 얼마인지 정확하게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기(PC버전)
1. NPS전자민원서비스 홈페이지(https://minwon.nps.or.kr/)에 접속합니다.
2.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된 가입내역조회 메뉴를 누릅니다.
3.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하면 본인이 납부한 국민연금 납부액이 나옵니다. 이 때 간편인증(카카오톡, 페이코, 통신사 PASS, KB모바일 인증서, 삼성패스, 신한인증서, 네이버) 로그인, 공동인증서, 네이버 로그인, 카카오페이 로그인을 통해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.
이 화면에서는 총 가입기간, 총 납부내역, 실업크레딧 납부내역, 반환일시금 지급내역, 연금보험료상세내역, 예상연금월액(노령연금), 연금계산내역(노령연금)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기(모바일버전)
1.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을 설치합니다. 아래의 버튼을 눌러서 해당 앱을 설치합니다. 안드로이드와 애플 앱 경로가 있으니 해당되는 모바일 종류로 설치하시면 됩니다.
2. 가입내역 메뉴에서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된 더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납부액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 가입내역 메뉴에는 가입내역 요약, 납부내역, 실업크레딧 납부내역, 반환일시금 지급내역, 상세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수령 나이
출생년도 | 국민연금 수령 나이 |
1952년 이전 생 | 60세 부터 수령 |
1953년 ~ 1956년 | 61세 부터 수령 |
1957년 ~ 1960년 | 62세 부터 수령 |
1961년 ~ 1964년 | 63세 부터 수령 |
1965년 ~ 1968년 | 64세 부터 수령 |
1969년 ~ | 65세 부터 수령 |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이렇게 PC나 핸드폰으로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 자주는 아니더라도 한 번씩 조회하셔서 제대로 납입이 되는지 확인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.
▼함께 보면 좋은 글▼
보조금24 정부지원금 한번에 알아보기
보조금 24 정부지원금 한 번에 알아보기 오늘은 보조금 24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정부에서 시행하는 많은 복지 정책이 있습니다. 그런데 내가 이 중에서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
dino.dinologi.com
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자격
특례보금자리론은 2023년 1월 30일부터 딱 1년간 신청할 수 있는 대출상품입니다. 특례보금자리론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보금자리론(소득기준: 7,000만 원 이하)과는 달리 소득제한이 없다는 것입
dino.dinologi.com
아파트관리비 조회
아파트관리비는 보통 종이로 된 고지서형태로 많이 받고 있습니다. 이렇게 고지서로 받게 되면 분실의 위험도 있고 보관의 불편함도 있습니다. 아파트관리비를 조회하는 방법 중에 인터넷으로
dinologi.com